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서평
- 아닐라오
- 인사말
- 말라파스쿠아
- 마을교육과정
- 그림책 만들기
- 키르키스스탄
- 한국형 지방교육자치
- 마을교육공동체
- 혁신학교
- 한나 아렌트
- 교육지원센터
- 중학생 작품
- 토론하기
- 혁신교육지구
- 마을교육자치회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시흥혁신교육지구
- 1인 제작 영화
- 출제 문항
- 활동지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발췌
- 교육자치
- 다이빙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주체적 감상
- 지방교육자치
- Today
- Total
목록2024/07/10 (2)
나무
※ 이번 시간에는 토론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입론 쓰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1. 내가 토론할 논제를 정해 보자. ◎ 논제의 조건 ① 명제형으로 제시 ② 찬반 대립이 분명해야 함. ③ 찬성 측의 입장이 담긴 긍정문 ④ 중심 과제가 하나로 모아져야 함. ◎ 정책 논제 :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나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다루는 논제 ◎ 최근에 다룬 정책 논제의 예 -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 - 저출산 대책으로 가족지원예산을 늘여야 한다. - 합계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부처를 만들어야 한다. 활동 : 내가 토론하고 싶은 정책 논제를 시흥의 지역 신문(시흥시민신문, 시흥신문 등)에서 찾아 정해보자. - 조건 : 논제의 조건에 맞추어야 함. 정책 논제로 적절해야 함. - 내가..
※ ‘100분 토론’, ‘국회의원 선거 토론’ 등 우리 사회에서 한 가지 문제에 생각이 다른 사람들이 그 문제를 가지고 찬성, 반대 등의 의견을 말하며 생각을 좁혀갑니다. 이번 시간에는 토론하기를 학습해 봅시다. ◎ 토론 용어 익히기1. 토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알아보자. 교과서 135쪽을 보며 토론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하며 이해해 보자. (1) 교과서에 나오는 선생님과 윤서, 선유의 대화를 읽고, ‘논제’, ‘정책 논제’, ‘쟁점’, ‘논증’의 의미를 알아보자. 예시 : 투표 연령을 낮추어야 한다. ① ‘투표 연령을 낮추어야 한다’를 왜 정책 논제로 정했을까? ② 정책 논제로 적절한가, 그 이유는? ③ 찬성 측과 반대 측을 나누어 주장을 적어보자. 입장주장찬성반대 ③ 쟁점이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