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중학생 작품
- 활동지
- 교육지원센터
- 1인 제작 영화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혁신학교
- 그림책 만들기
- 시흥마을교육자치회
- 시흥혁신교육지구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인사말
- 마을교육공동체
- 서평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지방교육자치
- 마을교육자치회
- 아닐라오
- 한국형 지방교육자치
- 한나 아렌트
- 교육자치
- 마을교육과정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교육수필
- 마을교사 수업
- 발췌
- 토론하기
- 혁신교육지구
- 키르키스스탄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주체적 감상
- Today
- Total
목록한나 아렌트 (4)
나무
역자 서문아렌트는 아이히만에게서 서로 긴밀히 연결된 세 가지의 무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말하기의 무능성, 생각의 무능성, 그리고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의 무능성.말은 우리를 현실과 연결시켜준다. 나치스가 언어규칙을 만든 이유는 암호화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의 현실에 대한 감각을 마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말의 유용성은 말이 현실을 알게 하여 사람에게서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고 아렌트는 생각했다고 볼 수 있다. 악의 평범성과 타자 중심적 윤리(정화열)아렌트가 아이히만에 대해 사유할 능력이 없는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사람이라고 규정했을 때, 의미한 것은 진정 무엇이었을까?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할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했다. 인간의 복수성에 있어 ‘평등’..
‘악의 평범성’으로 유명한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말과 생각을 하는 힘의 중요성을 아이히만의 재판 과정을 통해 자세히 알려주는 보고서다. 이와 함께 나치스가 유대인은 물론 인류에 저지른 악행도 세밀하게 언급되어 있다.『한나 아렌트 어두운 시대의 삶』에 의하면 아렌트는 이 보고서를 쓰고 시온주의자들에게 엄청난 따돌림을 당해야 했다. 인류에 대한 상상을 초월하는 범죄를 저지른 자가 인간성을 포기한 괴물이 아니라 지극히 평범한 사람이며, 누구라도 조건만 갖춰진다면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서는 당시 가장 크고 비참한 피해를 입은 유대인 사회에서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더구나 민족주의를 당연하게 여기던 당시 시대 분위기에서 유대인인 아렌트가 그토록 냉철하게 재판을 지켜보고 내린 결론이었으니 같은..
나라 : 일본개봉 : 2014감독 : 이시이 유야출연 : 마츠다 류헤이, 마야자키 아오이, 오다기리 조오프닝 : 물결 출렁이는 바다가 보이다 어느 출판사 사무실 풍경이 보인다. 물결 출렁이는 바다는 이 출판사가 편찬할 사전 '다도해'를 상징하는 오프닝이었다.그냥 스쳐가듯 보는 영화에서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히이만'에서 만난 문장과 같은 생각이 거침없이 나와서 너무 놀랐다. "말은 우리를 현실과 연결시켜준다." 이게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아렌트가 아이히만에게 절망했던 중요한 요지다. '다도해'를 만드는 목적은 현실과 사람을 연결해 줄 가장 적확한 단어를 만들기 위함이 아니던가. 왜냐하면 '말의 유용성은 말이 현실을 알게 하여 사람에게서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데 있기' 때문에. 아! 아..
한나 아렌트 어두운 시대의 삶, 앤C 캘러 지음, 정찬형 옮김, 역사비평사, 2021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1961~1963 아이히만은 “나는 단지 기계의 작은 톱니바퀴에 지나지 않았다.”라는 유명한 말(이후 사람들에 의해 전체주의적 환경에서 인간이 도덕적으로 깨어 있을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의문을 던진 것으로 평가된 말)을 남겼다. 그녀가 보기에 아이히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생각이 없었다.”(즉, 어떤 문제나 사건을 다른 사람들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못했다.)라는 것이다. 아렌트가 보기에 그의 삶은 깊이가 없었다. “오로지 열심히 자신의 입신양명을 추구하는 것 말고는 아이히만에게 삶의 다른 동기는 일절 없었다.” “악은 표면적 현상이다.” 이 표현에 담긴 의도는 아이히만을 통해 새로운 유형의 “대중사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