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마을교육자치회
- 활동지
- 주체적 감상
- 다이빙
- 혁신학교
- 교육지원센터
- 아닐라오
- 교육자치
- 1인 제작 영화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중학교 2학년 국어
- 서평
- 한나 아렌트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혁신교육지구
- 말라파스쿠아
- 시흥혁신교육지구
- 지방교육자치
- 마을교육과정
- 마을교육공동체
- 출제 문항
- 인사말
- 키르키스스탄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그림책 만들기
- 중학생 작품
- 발췌
- 토론하기
- Today
- Total
목록발췌 (6)
나무

우리는 왜 한나 아렌트를 읽는가리처드J. 번스타인 지음, 김선욱 옮김, 한길사, 2018 -한국 독자에게서론무국적 상태와 난민 아렌트는 무국적 인간의 범주와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은 현대 정치의 가장 문제적인 징후가 될 것이라고 경고한 최초의 주요 정치사상가 중 한 명이다. 아렌트는 대량 무국적 상태가 시작된 원인을 국민국의 쇠퇴에서 찾는다. “국민”이란 일정 경계로 제한된 영역에 살면서 문화와 언어 그리고 공통의 역사를 지닌 주요 집단을 가리킨다. “국가”란 한 영역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법적 상태를 가리킨다. 근대국민국가가 형성되기 시작했던 시기부터 국민과 국가 사이에는 긴장이 존재했다. 어떤 사람들이 국민의 ‘참된’ 구성원으로 간주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 한 지역에 살아가는 사..

바보 만들기, 존 테일러 개토 씀, 김기협 옮김, 민들레, 2014 바닥에서 다시 출발하기한 줄기 희망의 빛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걸어 온 길교사들의 일곱 가지 죄 1. 혼란 깊은 배움이 없이 교육의 질이란 성립할 수가 없습니다. 2. 교실에 갖혀 있기 학교교육과 진실이란 근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3. 무관심 학교의 시간을 지배하는 감춰진 원리가 바로 종소리입니다. 종소리는 학생들의 모든 노력을 무관심이 지배하도록 감염시키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 4. 정서적 의존성 5. 지적 의존성 부모 자신이 학교를 제대로 다니면서 일곱 가지 가르침을 잘 받은 결과가 어떤 것인지를 생생하게 증언해 주는 것이라고밖에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스스로는 뭘 할지 모르기 때문에 남들이 시키는..

피투자자의 시간금융 자본주의 시대 새로운 주체성과 대항 투기미셸 페어 지음, 조민서 옮김, 리시올, 2023 들어가며 정치적 낙담의 여정『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에서 슘페터는 경제적 자유주의가 기업이라는 법적 제도의 내생적인, 그리하여 불가피한 진화 때문에 쇠락한다고 보았다. (이런 전망과 별개로)신자유주의 개혁가들(몽펠르랭에 모인 이론가)은 가장 취약한 인구 집단을 시장 경쟁에 내재하는 폭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보다는 취약한 시장 메커니즘을 대중의 성급함과 이를 악용하는 대중 선동가로부터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한 통치의 과제라고 보았다. 또한 모든 유형의 공적 부조를 수혜자의 ‘게으름을 부추기지’ 않도록 낮은 수준에서 책정된 부의 소득세로 통합.1970년대 후반 이후 서구 경제는 사회학자 제럴드 데..

역자 서문아렌트는 아이히만에게서 서로 긴밀히 연결된 세 가지의 무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말하기의 무능성, 생각의 무능성, 그리고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기의 무능성.말은 우리를 현실과 연결시켜준다. 나치스가 언어규칙을 만든 이유는 암호화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의 현실에 대한 감각을 마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말의 유용성은 말이 현실을 알게 하여 사람에게서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고 아렌트는 생각했다고 볼 수 있다. 악의 평범성과 타자 중심적 윤리(정화열)아렌트가 아이히만에 대해 사유할 능력이 없는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사람이라고 규정했을 때, 의미한 것은 진정 무엇이었을까?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할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의미했다. 인간의 복수성에 있어 ‘평등’..

철학자와 늑대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추수밭, 2013 01 우리도 한때 길들지 않은 동물이었다02 나의 늑대가 되어 줄래? 장 폴 사르트르는 인간의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고 정의한 적 있다. 기억할 가치가 있는 이들이라면, 그들이 만들어 준 사람의 모습으로 사는 것은 단순한 기억이 아니라 그들을 존경하는 방법이다. 03 강의실에서 하울링을 오직 영장류만이 진정으로 문명화될 수 있다. 늑대들이 못하는 것이 거짓말이다. 그래서 늑대는 문명사회에 맞지 않다. 늑대도 개도 사람에게 거짓말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인간은 자신이 이들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마키아벨리적 지능 가설에 따르면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지능이 높아졌다. 첫 번째 기회는 동료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집단생활의 혜택을 ..

굿 워크 E. F. 슈마허/ 박혜영 옮김/ 느린 걸음/ 2011 발췌 박현숙 프롤로그 노동의 목적 ① 인간 삶에 꼭 필요하고 유용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② 신이 주신 재능을 잘 발휘하여 타고난 각자의 재능을 완성하기 위해 ③ 태생적인 자기중심주의에서 해방될 수 있도록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고 협력하기 위해 알베르 카뮈 “ 노동을 하지 않으면 삶은 부패한다. 그러나 영혼 없는 노동을 하면 삶은 질식되어 죽어 간다” 1장 한 세기의 종말 앞에서 우리가 먹는 것은 생리학적으로 말하자면 갖가지 종류의 음식이지만 경제학적으로 말하자면 주로 석유를 먹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의 석유가 하는 일을 예전에는 적절할 재활용이나 윤번제, 흙 속의 미생물이 하거나 생물학적 농법 혹은 유기농법이 대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