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교육자치
- 서평
- 교육수필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발췌
- 키르키스스탄
- 마을교육자치회
- 마을교육공동체
- 주체적 감상
- 토론하기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아닐라오
- 교육지원센터
- 인사말
- 한국형 지방교육자치
- 지방교육자치
- 활동지
- 1인 제작 영화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중학생 작품
- 혁신교육지구
- 시흥혁신교육지구
- 마을교육과정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시흥마을교육자치회
- 한나 아렌트
- 그림책 만들기
- 마을교사 수업
- 혁신학교
- Today
- Total
나무
초학문적 융합 수업의 현장 확산을 위한 제언 본문
초학문적 융합 수업의 현장 확산을 위한 제언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박현숙
초학문적 융합 수업이라는 용어를 만나는 순간 현재 시흥시의 고민을 만난 기쁨이 있었다.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에서는 시흥혁신교육지구시즌 Ⅱ(2016년 3월 – 2021년 2월)의 비전을 ‘마을교육공동체’로 세우고 ‘마을을 통한(마을과 학교의 경계를 허물고 마을의 교육자원 활용), 마을에 관한(마을이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의 교육과정), 마을을 위한(평생 교육 속에서 풍요로운 삶을 꾸리는 민주시민)’ 교육을 목표로 지자체와 교육청, 마을이 협업하여 학교의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시흥시가 혁신교육지구사업의 비전을 ‘마을교육공동체’로 정한 이유는 서울의 변방 작은 도시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다. 국가교육과정, 교과서 제도, 교사양성 제도의 3위 일체-가르치는 사람과 가르치는 도구와 가르쳐야할 내용. 이 모든 것을 국가가 가지고 있다!-가 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서울로 향하는 사람을 만드는 모순 속에서 지역의 생존과 발전을 고민하는 지자체로선 중앙집권적인 교육에서 지역을 넣는 노력을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그런데 지자체는 주민들에게 ‘평생 교육’이라는 법령 속의 테두리에서만 가능하고, 중요한 학령기에 있는 모든 학생들을 담당하는 학교 교육은 또 교육부를 통해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다. 이런 시스템 속에서 서울로 인구가 향하고, 지자체가 추후 몇 년 후면 사라질 곳이 점점 많아질 것이란 예측은 중앙집권적 교육이 그 현상을 더욱더 부채질 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런 예측은 시흥시가 왜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온 힘을 쏟는지, 왜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비전을 ‘마을교육공동체’로 잡고 시흥시의 83개 학교의 교육과정에 ‘마을의 인적 물적 자원과 내용’을 넣으려고 하는지에 대한 답이 될 것 같다. 시흥을 알고, 시흥 사람과 네트워크를 만들고, 시흥을 바라보면 떠나려는 마음보다 남아서 살고 싶은 마음이 일 것이라는 기대와 그렇게 만든 네트워크로 시흥에서 먹고 살 거리를 찾거나 만들면 굳이 4차 혁명 시대를 맞아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적정’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살아갈 힘을 가진 ‘시민’이 키워질 것이란 예상에서이다.
다행히도 2015 교육과정이 그런 내용을 담고 있어 시흥시로선 반갑고도 고맙다. 2015 교육과정이 각급 학교에서 제대로 시행되려면 지역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다. 2015교육과정에서 말하는 핵심 역량이 ‘교사가 교과서를 가지고 학교 안’에서 교육 활동을 하는 것으로는 제대로 길러질 수 없다. 역량이 삶을 살아가는 힘이기 때문에 삶이 교실 안으로 들어오지(교실이 학교 밖으로 나가야) 않고서 교과서와 교사만으로 가능하지 않다. 교육과정 총론에서 ‘지역화한 교육과정으로, 지역사회와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가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것이 텍스트가 아닌 수업으로 펼쳐지려면 단순한 교과통합이나 융합을 넘어 초학문적 융합수업이 펼쳐져야 한다. 그래야 2015에서 말하는 핵심역량이 길러질 수 있다. 그런데 초학문적 융합수업이 각급 학교에서 진행되려면 여러 가지 요건이 필요하다. 그런 요건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세 가지 요건을 제시한다.
첫째로 가장 중요한 요건은 그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사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2015교육과정의 정신을 이해하고, 그것을 교육과정으로 만들고, 수업으로 기획해서 실제로 실행할 수 있게 교사가 있어야 하며, 교사들이 그런 역량이 길러질 수 있게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학교 안에서 교사학습공동체가 잘 구축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기술 시간에 ‘학교 교칙, 필요할까?’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과연 효율적인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교과 전문성과 전혀 관계없는 수업을 학생들이 진행하는 것을 보며 교사가 얼마나 효능감이 있을 것이며, 그 수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진행될 것인가 하는 의문을 떨칠 수가 없었다.
초학문적 융합 프로젝트가 펼쳐지기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이 자신들이 하고 싶은 과제를 먼저 선정하고, 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만들어지면 좋을 것이다. 즉, 학생들에게 교육과정 제안을 받은 후에 그것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이 구성이 되고, 거기에서 교사들이 자신들의 교과 역량에 최대한 발휘되면서 학생들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만약 ‘학교 교칙, 필요할까?’하는 주제를 교사학습공동체가 받아서 학년교육과정으로 만들어서 진행했다면 기술 교사 혼자 진행한 수업과 학생들의 성장과 배움이 차이가 없었을까? 나는 아주 큰 성장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사회과 도덕과와 같은 인문학 교과와 수학과의 통계 단원들이 융합 돼서 다양한 읽기 자료의 지원과 교사의 지원 등이 다방면으로 펼쳐지고, 학교 교칙에 대한 공청회, 교칙 새로 만들기, 교칙에 대한 통계, 헌법과 비교하기, 지역에 캠페인 벌이기 등의 활동이 벌어지고, 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교사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더 큰 성장이 일어났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런 교육과정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가 잘 구축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셋째로 지역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체인지 메이커’를 한다고 했을 때, 교사들만 할 때와 지역의 지원이 함께 했을 때, 어느 쪽이 더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지는 말이 필요 없을 것이다. 실생활에 맥락을 둔 초학문적 융합 수업에서 지역의 자원이 수업으로 들어왔을 때 학생들이 자칫 실생활과 유리되거나 지나치게 추상적인 과제 선정을 피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살고 있는 삶이 지역이기에, 지역이 함께 해야 초학문적 융합 수업의 본질에 맞게 진행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현재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국정 과제로 정해져서 전국의 100개의 지자체가 이 사업을 통해 학교에 지역의 인적 물적 자원을 교육청과 협업하여 학교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아직 지자체마다 신규 사업이기에 사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교육청과 지자체라는 상이한 두 기관의 협업을 몹시 어려워하고 있다. 또한 학교의 폐쇄성과 교사들의 이해 부족으로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과중한 업무로 인식하여 기피하는 상황도 왕왕 발생하고, 지자체의 서류에 대한 과도한 요구 등이 교사들에게 실제적으로 과중한 업무로 다가가는 경우도 왕왕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지자체와 교육청의 협업인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현장에 제대로 뿌리내린다면 초학문적 융합 수업은 교장의 마인드와 교사들의 의지와 역량에 달려 있다. 한 마디로 하느냐 안 하느냐는 학교의 의지에 달린 것이라 볼 수 있다.
초학문적 융합 수업은 교육과정의 목표인 ‘민주시민 육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미래 사회, 지속 가능한 삶과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앞으로의 수업 방향이 나아가야 할 바이다. 이런 수업이 현실적으로 각급 학교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다방면의 지원이 따라야 할 것이다.
'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는 수업으로 성장한다. 책을 읽고 토의용 질문 (0) | 2019.10.02 |
---|---|
<경기도 혁신교육지구> (0) | 2019.09.10 |
<신문 칼럼> 담임이 뭐 이래요? (0) | 2019.07.30 |
미래교육의 메카 시흥, 민선7기 교육 브리핑 (0) | 2019.07.04 |
한국형 지방교육자치 센터 구축 언론 브리핑 (0) | 2019.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