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교육자치
- 주체적 감상
- 발췌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다이빙
- 출제 문항
- 한국형 지방교육자치
- 교육지원센터
- 서평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마을교육자치회
- 토론하기
- 말라파스쿠아
- 아닐라오
- 한나 아렌트
- 인사말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마을교육과정
- 활동지
- 혁신교육지구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1인 제작 영화
- 마을교육공동체
- 혁신학교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시흥혁신교육지구
- 지방교육자치
- 중학생 작품
- 키르키스스탄
- 그림책 만들기
- Today
- Total
목록학교 (554)
나무
중딩이의 귀여운 복수 ^^
제목 없다. 센스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에니메이션과 사진을 캡쳐하여 만들었다.
손으로 직접 그려서 제작한 영화이다.
레고로 직접 제작해서 만든 영화다. 학년말 영화제에서 인기 있어서 뽑힌 20편 중 하나.
지필 고사 범위는 한글 창제 원리와 우수성, 올바른 표기와 발음, 읽기의 가치와 중요성이었다. 1. 다음은 훈민정음이 창제될 당시의 자음이다.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 기본자를 모두 고른 것은? (4점)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 ① ㄱ, ㅋ, ㄴ, ㅂ, ㅇ ② ㄱ, ㄴ, ㅂ, ㅈ, ㅅ ③ ㄱ, ㄴ, ㅁ, ㅅ, ㅇ ④ ㄷ, ㅅ, ㅇ, ㄹ, ㅿ ⑤ ㄷ, ㅌ, ㄴ, ㅂ, ㅇ 2.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자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점) ① ‘ㅿ, ㆁ, ㆆ’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다. ② ‘ㄹ, ㅿ, ㆁ’은 천지인을 상형하여 만든 글자이다. ③ ‘ㅂ, ㅍ’은 자음 기본자 ‘ㅁ’에 획을 더해서 만들었다. ④ ‘ㄱ→ㅋ’처럼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소리..
고전 작품을 현대에 읽는 이유. 이런 것들이 성취기준이다.
등교 수업 때 한글의 창제 원리와 정확한 발음과 표기를 진행했다. 한글의 창제 원리는 교과서에 2학기에 있고, 정확한 발음과 표기는 1학기에 있다. 그런데 창제 원리와 발음, 표기는 문자를 창제하고, 표기하고 발음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취기준을 통합해서 수업을 해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혼란도 빠르게 지나가고 이해가 빨리 된다. 등교 수업 때 했던 것을 원격으로 하니 한 사람 한 사람의 활동을 눈으로 볼 수 있고, 한 사람씩 피드백을 할 수 있기에 일 주일 내내 정확한 발음과 표기를 하게 됐다. 결과적으로 기말 고사 성적이 아주 좋았다. 기말고사 전이라 독서 시간은 다음에 있을 원격 수업으로 넘기고 4차시 모두 정확한 발음과 표기로 진행했다.
독서 '제비역' 하이타니 겐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