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주체적 감상
- 그림책 만들기
- 다이빙
- 혁신학교
- 마을교육과정
- 한국형 지방교육자치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인사말
- 중학생 작품
- 한나 아렌트
- 아닐라오
- 마을교육공동체
- 지방교육자치
- 1인 제작 영화
- 마을교육자치회
- 시흥혁신교육지구
- 발췌
- 출제 문항
- 혁신교육지구
- 교육지원센터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말라파스쿠아
- 토론하기
- 서평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키르키스스탄
- 교육자치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활동지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Today
- Total
목록학교 (554)
나무
한글 창제의 원리와 우수성 단원에 이어서 정확한 발음과 표기 단원이었는데, 기말 고사 문제 내느라 정신이 좀 나가서 읽기의 가치와 중요성을 먼저 해 버렸다. 그렇지만, 거의 바로 이어서 한 것이나 다름없어서 수업 하는데 이어지는 느낌이다.
읽기의 가치와 중요성. 교과서에 나온 성석제의 글 대신 내가 쓴 책 '10대, 놀이를 플레이하다'에서 독서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쓴 부분을 발췌해서 교재로 사용했다. 칙센트 미하이의 '몰입'에 나온 읽기의 기술 부분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김애란 소설 '노찬성과 애반'을 함께 읽고 있었다.
한글 단원 마지막으로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수업이다. 창제 원리 복습이 있어 총 2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모음 창제 원리와 모아쓰기 원리 활동지다.
자음 창제 원리 활동지이다.
6차시는 훈민정음 창제 원리 중 창제 정신을 찾는 것이 중심 활동이다.
원격 수업에서 했던 아이템, 시놉시스, 시나리오 쓰기 활동을 피드백했다. 그 피드백을 보면서 시나리오를 수정해서 완성하는 것이 수행평가이다. 원격에서 제출한 시나리오 최종물을 출력해서 나눠주었고, 자신의 활동물을 볼 수 있게 공유기를 설치해서 스마트폰을 활용하게 했다. 개개인의 글쓰기를 피드백 하는 일은 퇴근 이후, 휴일에 해야만 가능하다. 그렇지만 피드백하면 한만큼 결과가 좋기 때문에 하게 된다.
교과융합이 잘 되었으면 샷 사이즈와 앵글 영상 미술은 미술 교과에서 했을 텐데 미술 교과가 코로나로 수행 평가에 허덕이는 바람에 음악하고만 융합이 되었다. 음악은 영상 음악을 수업하고 영화 완성된 것에서 영상 음악 부분을 수행 평가에 넣는다고 한다. 학기초에 협의가 되어서 수행 평가까지 이어져야 융합이 단단하게 된다. 샷 사이즈와 앵글, 영상 미술 활동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