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말라파스쿠아
- 혁신학교
- 마을교육공동체
- 다이빙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마을교육과정
- 활동지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키르키스스탄
- 인사말
- 그림책 만들기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혁신교육지구
- 발췌
- 중학생 작품
- 한나 아렌트
- 서평
- 주체적 감상
- 교육지원센터
- 지방교육자치
- 중학교 2학년 국어
- 교육자치
- 토론하기
- 시흥혁신교육지구
- 아닐라오
- 마을교육자치회
- 1인 제작 영화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출제 문항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서평)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유시민 돌베개 (1)
나무

'거만한 바보'로 살지 않으려면 누군가와 대화할 때 마치 벽을 보고 이야기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기껏 길게 시간을 들여 설명을 했는데, 하나도 안 들은 것처럼 처음 주장을 되풀이할 때 ‘차라리 우리 집 강아지하고 말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든다. 문득 재작년 1년을 같이 생활했던 동 학년 동 교과 파트너와 지냈던 악몽이 떠오른다. 그 교사에게 교과 성취기준을 말하면 교과서 출판사 문제은행에서 내려 받은 문제를 보이며 ‘안전한 문제’니 ‘문제없다’고 했고, 그게 문제라고 ‘성취기준’으로 평가문항을 제작해야한다고 말하면 나에게 ‘융통성이 없다’고 했다. 당시 ‘성취기준’으로 수업과 평가 문제를 말하는 내 자신이 정말 ‘문제가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도 들었고, 번번이 소통에 실패하고 싸움으..
원고
2024. 4. 8.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