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혁신학교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아닐라오
- 그림책 만들기
- 중학교 2학년 국어
- 1인 제작 영화
- 토론하기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마을교육자치회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말라파스쿠아
- 시흥혁신교육지구
- 마을교육과정
- 발췌
- 출제 문항
- 인사말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교육지원센터
- 주체적 감상
- 서평
- 다이빙
- 중학생 작품
- 교육자치
- 키르키스스탄
- 마을교육공동체
- 지방교육자치
- 한나 아렌트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활동지
- 혁신교육지구
- Today
- Total
목록학교/학급 운영 (15)
나무
학급 자율활동 시간에 또 뭐 하라고 했는데 의미가 없어서 2학년에 지난 주 했던 학급 소축제 평가도 할 겸 그것을 소재로 학급 신문을 만들자고 했더니 다들 좋다고 했다. 그 활동을 위한 활동지를 만들어서 함께 사용했다. 학급 신문은 등교 수업 주에 결과물을 가져와서 하드보드지에 붙이면 학급 신문이 완성될 수 있게 했다. 패들렛을 이용해서 각 부서들이 활동을 했다.
늦게 포스팅을 하다 보니 순서가 바뀌었지만, 기록하는 것이 목적이기에 그냥 올리려고 한다. 학급 자율 활동 시간에 자치 규약을 정하라고 했다. 자치 규약은 첫 번째 자치 활동 시간에 했는데 또 하라고 해서 2학년부에 학급 소축제 기획하는 활동을 하자고 했더니 모두 좋다고 했다. 그 활동을 위해 만든 활동지다. 원격 수업에 적당하게 만들었다.
등교 수업주의 마지막 금요일 5, 6교시에 학급별로 소축제를 하라고 해서, 2주 전부터 학급 행사 담당인 체육부에게 프로그램을 준비하게 했다. 자치라고 하지만 학급 자치할 시간은 안 주고 자꾸 행사만 기획에서 학급에서 알아서 하라고 한다. 시킨 걸 알아서 하는 게 자치가 아니고, 하고 싶은 것을 찾아서 하는 게 자치인데 무슨 이벤트 기획병에 걸렸나하는 생각이 든다. 올해 하고 가버릴 사람이 뭐라 해 봤자 하는 사람 기운만 뺄 것이므로, 하는 과정에서 자치를 경험하게 노력하는 수 밖에. 체육부 친구들은 반 친구들에게 의견을 묻고, 자기들이 프로그램을 만들고 하면서 서너 번 행시 기획을 뒤집었다. 처음엔 부스를 열고 판을 벌인다고 하더니, 부서 내 반발-자기들은 진행하느라 즐길 수 없다는-결국 다른 반과 비..
학급 자치 조직인데 왜 학교에서 정해진 조직표를 주며 채우라고 하는지. 조직도가 가진 이상한 체계. 이건 학교 교무조직도 아니고, 회사 조직도 아니고, 뭘 위한 조직도인지 모르는 체계. 암튼 우리 반 자치조직이므로 조직도에 의미를 부여하는데 일 주일 걸렸음. 담임 : 담임의 역할 회장 : 학급을 대표하고 학급을 위해 봉사한다. 부회장 : 회장이 없을 때 회장의 역할을 한다. 회장과 함께 학급을 대표하고 봉사한다. 서기 : 출석부를 관리(이건 교사의 일인데 왜 학생이 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으나 학교가 그렇게 하고 있으니 한다 치고) 및 학급의 다양한 일들 기록 총무부 : 학급 비품과 학급비 관리, 학급원이 결원했을 때 학과 교사의 질문에 책임 있는 답변 학습부 : 학습에 대한 도움. 결원한 친구들이 출석..
자치 규약을 정해야 한다고 해서 정하는데, 정한 결과를 써서 내는 파일만 왔다. 원격으로 자치 규약을 정하는데 결과를 써서 내는 파일은 성과를 위한 서류 아닌가? 자치를 지원하기 위한 자치부서가 되어야 하는데 언제까지 이렇게 학교는 성과와 보고와 서류를 위한 일을 하는가. 그래서 활동지 만들어서 우리 2학년 함께 썼다. 다양한 논의가 오갔으나, 두 가지 자치 규약이 정해졌다. - 마스크를 공적인 공간에서 착용한다. - 수업 시간에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참 훌륭한 학생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