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나무

(교재)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주체적 감상. 함께 맞는 비, 신영복(본문) 본문

학교/수업일지

(교재) 고등학교 1학년 국어 주체적 감상. 함께 맞는 비, 신영복(본문)

나무와 들풀 2024. 9. 24. 09:12

함께 맞는 비

형수님께

신영복

 

상처가 아물고 난 다음에 받은 약은 상처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에는 너무 늦고, 도리어 그 아프던 기억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단지 시기가 엇갈려 일어난 실패의 사소한 예에 불과하지만, 남을 돕고 도움을 받는 일이 경우에 따라서는 도움이 되기는커녕 더 큰 것을 해치는 일이 됩니다.

함께 징역(죄인을 교도소에 일정 기간 가두어 두고 노동을 시키는 형벌)을 살아가는 사람 중에는 접견도, 서신(편지), 영치금(죄를 지어 교도소에 갇힌 사람이 교도소의 관계 부서에 임시로 맡겨 두는 돈. 교도소를 통하여 음식이나 물품을 구입하는 데 씀)도 없이 받은 징역을 춥게 살면서도 비누 한 장, 칫솔 한 개라도 남의 신세를 지지 않으려는 고집 센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르는 사람들은 이러한 사람들을 두고 남의 호의를 받아들일 줄 모르는 좁은 속을 핀잔하기도 하고, 가난이 만들어 놓은 비뚤어진 심사를 불쌍하게 여기기도 하고, 단 한 개의 창문도 열지 않는 어두운 마음을 비난하기도 합니다.

남의 호의를 거부하는 고집이 과연 좁고 비뚤고 어두운 마음의 소치인가. 우리는 공정한 논의를 위하여 카메라를 반대편, 즉 베푸는 자의 얼굴에도 초점을 맞추어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칫솔 한 개를 베푸는 마음도 그 내심을 들추어보면 실상 여러 가지의 동기가 그 속에 도사리고 있음을 우리는 겪어서 압니다. 이를테면 그 대가를 다른 것으로 거두어들이기 위한 상략적(商略的: 상업상의 책략)인 동기가 있는가 하면, 비록 물질적인 형태의 보상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으나 수혜자 측의 호의나 협조를 얻거나, 그의 비판이나 저항을 둔화시키거나, 극단적인 경우 그의 추종이나 굴종을 확보함으로써 자기의 신장(伸張:자기의 세력 따위를 넓게 펼치거나 뻗침)을 도모하는 정략적(政略的:정치상의 책략을 목적으로 삼는)인 동기도 있으며, 또 시혜자라는 정신적 우월감을 즐기는 향락적(享樂的:쾌락을 누리기를 좋아하는)인 동기도 없지 않습니다. 이러한 동기에서 나오는 도움은 자선이라는 극히 선량한 명칭에도 불구하고 그 본질은 조금도 선량한 것이 못됩니다. 도움을 받는 쪽이 감수해야 하는 주체성의 침해와 정신적 저상(沮喪:기운을 잃음)이 그를 얼마나 병들게 하는가에 대하여 조금도 고려하지 않고 서둘러 자기의 볼일만 챙겨가는 처사는 상대방을 한 사람의 인간적 주체로 보지 않고 자기 환경이나 방편으로 삼는 비정한 위선입니다.

이러한 것에 비하여 매우 순수한 것으로 알려진 동정이라는 동기가 있습니다. 이것은 측은지심(惻隱之心:가엾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의 발로로서 고래(古來:)의 미덕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동정이란 것은 객관적으로는 문제의 핵심을 흐리게 하는 인정주의의 한계를 가지며 주관적으로는 상대방의 문제해결보다는 자기의 양심의 가책을 위무(慰撫:위로하고 어루만져 달램)하려는 도피주의의 한계를 갖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동정은 동정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동정하는 자의 시점에서 자신을 조감(鳥瞰:높은 곳에서 한눈에 내려다봄)케 함으로써 탈기(脫氣:몹시 지쳐 기운이 빠짐)와 위축을 동시에 안겨줍니다. 이 점에서 동정은, 공감의 제일보(어떤 일의 시작)라는 강변(强辯:논리에 맞지 않는 것을 굽히지 않고 주장하거나 굳이 변명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공감과는 뚜렷이 구별되는 값싼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여러 가지를 부단히 서로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징역 속에서, 제게도 저의 호의가 거부당한 경험이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처음에는 상대방의 비좁은 마음을 탓하기도 하였지만, 순수하지 못했던 나 자신의 저의(드러내지 않고 속으로 품은 생각)를 뒤늦게 발견하고는 스스로 놀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사실, 남의 호의를 거부하는 고집에는 자기를 지키려는 주체성의 단단한 심지가 박혀 있습니다. 이것은 얼마간의 물질적 수혜에 비하여 자신의 처지를 개척해나가는 데 대개의 경우 훨씬 더 큰 힘이 되어줍니다.

사람은 스스로 도울 수 있을 뿐이며, 남을 돕는다는 것은 그 스스로 도우는 일을 도울 수 있음에 불과한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저는 가르친다는 것은 다만 희망을 말하는 것이다라는 아라공(프랑스의 문인)의 시구를 좋아합니다.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으며 함께 걸어가는 공감과 연대의 확인이라 생각됩니다.

 

 

 

신영복(1941~2016) 대한민국 진보 학계를 대표하는 경제학자이자 문학가. 젊은 시절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20년간 징역살이를 했으며, 수감 생활 당시 가족에게 보낸 편지를 엮어 낸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으로 이름을 알렸다. 쇠귀라고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