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그림책 만들기
- 혁신학교
- 마을교육자치회
- 출제 문항
- 토론하기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교육지원센터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교육자치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인사말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1인 제작 영화
- 활동지
- 마을교육과정
- 중학교 2학년 국어
- 혁신교육지구
- 다이빙
- 서평
- 발췌
- 아닐라오
- 말라파스쿠아
- 주체적 감상
- 한나 아렌트
- 지방교육자치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키르키스스탄
- 시흥혁신교육지구
- 중학생 작품
- 마을교육공동체
- Today
- Total
목록학교/2020년 중학교 2학년 국어 (89)
나무
지필 고사 범위는 한글 창제 원리와 우수성, 올바른 표기와 발음, 읽기의 가치와 중요성이었다. 1. 다음은 훈민정음이 창제될 당시의 자음이다.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든 5개의 자음 기본자를 모두 고른 것은? (4점)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 ① ㄱ, ㅋ, ㄴ, ㅂ, ㅇ ② ㄱ, ㄴ, ㅂ, ㅈ, ㅅ ③ ㄱ, ㄴ, ㅁ, ㅅ, ㅇ ④ ㄷ, ㅅ, ㅇ, ㄹ, ㅿ ⑤ ㄷ, ㅌ, ㄴ, ㅂ, ㅇ 2.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자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점) ① ‘ㅿ, ㆁ, ㆆ’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글자이다. ② ‘ㄹ, ㅿ, ㆁ’은 천지인을 상형하여 만든 글자이다. ③ ‘ㅂ, ㅍ’은 자음 기본자 ‘ㅁ’에 획을 더해서 만들었다. ④ ‘ㄱ→ㅋ’처럼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소리..
김애란 소설 '노찬성과 애반'을 함께 읽고 있었다.
원격 수업에서 했던 아이템, 시놉시스, 시나리오 쓰기 활동을 피드백했다. 그 피드백을 보면서 시나리오를 수정해서 완성하는 것이 수행평가이다. 원격에서 제출한 시나리오 최종물을 출력해서 나눠주었고, 자신의 활동물을 볼 수 있게 공유기를 설치해서 스마트폰을 활용하게 했다. 개개인의 글쓰기를 피드백 하는 일은 퇴근 이후, 휴일에 해야만 가능하다. 그렇지만 피드백하면 한만큼 결과가 좋기 때문에 하게 된다.
교과융합이 잘 되었으면 샷 사이즈와 앵글 영상 미술은 미술 교과에서 했을 텐데 미술 교과가 코로나로 수행 평가에 허덕이는 바람에 음악하고만 융합이 되었다. 음악은 영상 음악을 수업하고 영화 완성된 것에서 영상 음악 부분을 수행 평가에 넣는다고 한다. 학기초에 협의가 되어서 수행 평가까지 이어져야 융합이 단단하게 된다. 샷 사이즈와 앵글, 영상 미술 활동지다.
신 리스트에 대사와 지문을 넣으면 시나리오가 된다. 시나리오의 문체 특징을 설명한 후 시나리오를 쓴다.
독서 시간 때문에 원격 수업 차시가 헝클어졌다. 시놉시스 세분화 한 것을 장소와 시간에 따라 신을 나누면 신 리스트가 된다.
원격 수업에서 설명문 소재 고르고 - 개요표 작성 - 내용 마련과 보충 자료 찾기 - 설명문 쓰기 한 것을 가지고 글 다듬기 하는 것이 수행 평가이다. 구클로 한 설명문 쓰기 활동지는 출력해서 개인별로 줬고, 매 단계 피드백을 줬다. 마지막 설명문도 피드백을 줬으므로 그것을 보고 글 다듬기 한 것이 수행평가가 된다. 공유기를 가져가서 구클에 올린 자신의 자료와 더 필요한 자료가 있으면 찾으면서 글 다듬기할 수 있게 하였다. 코로나로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2학기 1단원 (2) 이야기로 표현하기(소설 창작)과 4단원 (2)우리가 만드는 연극(대본 창작 후 연극하기)를 하나로 묶어서 하는 프로젝트 수업. 그 첫 번째로 아이템 정하기. 예시작 보고 배운 후, 자신의 아이템을 정하는 활동이다. 10차시는 아마도 5차시부터 블로그에 시간 계산에 착오가 있었는 듯.
실제로 설명문을 쓰는 활동이다. 전시 학습을 바탕으로 한 편의 설명문을 쓴다. 설명문은 짜임을 알고 설명 방법을 알면 아주 쓰기 쉬운 글이다. 처음 '-를 설명하겠다.', 중간 '-를 설명하고', 끝- '-를 설명했다.'의 짜임이기 때문이다. 쓰는 과정에서 설명할 내용은 다양한 참고 자료를 찾고, 그것을 잘 배열하고 출처를 나중에 밝히면 된다.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설명문 쓸 자료를 찾게 하면 느리거나 학습 의욕이 낮은 학생들은 참여가 어렵다. 그래서 현재 다른 과목에서 배우고 있는 것들을 소재로 해서 쓰게 하면 이런 문제는 쉽게 해결된다. 그래서 과학책이나 사회책에서 배우는 내용을 소재로 했는데 요번에는 음악에서 배우는 '아시아의 음악극'을 소재로 선택했다. 음악 시간에 아시아의 음악극을 배우고 나중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