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중학교 2학년 국어
- 그림책 만들기
- 마을교육자치회
- 시흥혁신교육지구 사업
- 활동지
- 고등학교 자율교육과정
- 1인 제작 영화
- 키르키스스탄
- 중학생 작품
- 지방교육자치
- 혁신교육지구
- 토론하기
- 마을교육공동체
- 교육자치
- 아닐라오
- 중학교 2학년 국어 단편영화 제작
- 발췌
- 시흥행복교육지원센터
- 한나 아렌트
- 혁신학교
- 교육지원센터
- 다이빙
- 마을교육과정
- 말라파스쿠아
- 주체적 감상
- 고등학교 1학년 국어
- 출제 문항
- 인사말
- 서평
- 시흥혁신교육지구
- Today
- Total
목록학교/2022년 고등학교 1학년 국어 (44)
나무
교과서에 향가 '제망매가'가 실려있다. ※ 교과서 253쪽 ‘제망매가’를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향가 이해 (1) 교과서 261쪽 향가를 정리한 부분을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 향가가 창작된 시기는 언제인가? - 표기 방식은 무엇이며 왜 한글로 표기되지 않았을까? - 한글로 표기되지 않았다면, 어느 나라의 글자로 표기되었을까? - 10구체 향가는 몇 부분으로 구성되며, 형식상 특징은 무엇인가? (2) ‘제망매가’라는 제목의 의미를 알아보자. - 뜻 : - 화자는 누구이며, 어떤 상황에 처해서 이 노래를 지었을까? (3) ‘월명사 지음, 김완진 해독 - 지은이와 완독한 이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 해석이 아니라 해독인 이유는 무엇인가? - 교과서에 월명사가 지은 부분과 김완진이 해독..
시험 범위 : 성취기준 - 대안찾아 읽기, 문학의 주체적 감상, 중세국어의 특징 [1~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공지능이 인간의 말을 알아듣고 명령을 실행하는 똑똑한 기계가 되는 것은 반길 일인가, 아니면 주인과 노예의 관계를 역전시키는 재앙이라고 경계해야 할 일인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뛰어넘는 인공지능 개발에 관한 보도가 잇따르는 가운데, 세계적 석학들이 인공지능 개발이 결국엔 인류의 종말로 이어질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기 시작했다. 세계적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은 “인공지능은 결국 의식을 갖게 되어 인간의 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며, “생물학적 진화 속도보다 과학 기술의 진보가 더 빠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생각하는 기계’가 축복이 될지 재앙이 될지는 미지..
※ 산타는 일 년에 한 번이면 족하다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내용 파악을 해 보자. (1) 처음, 중간, 끝으로 나누어 보자. (2) 주제 문장을 찾아보자. (3) 내용을 정리해 보자. 단계 중심 내용 글쓴이의 생각 2. 현실의 문제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생각해 보자. (1) ‘혼자 오지 않는 물건’의 문제는 무엇이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글쓴이가 제시한 대안은 무엇인가? (2) ‘탄소 발자국과 맹목적 소비’의 문제는 무엇이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글쓴이가 제시한 대안은 무엇인가? (3) (1), (2) 중 하나를 골라 글쓴이의 제안과 다른 해결 방안을 모둠원과 토의하여 제시해 보자. 4. 이 글을 읽고 소비에 관련하여 내 생각을 써보자. (자신의 소비 성향을 성찰하고 앞으로 방..
※ 로봇 시대, 인간의 일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307쪽을 읽고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인공지능의 정의에 밑줄을 그으시오. (2) 인공지능이 할 수 있는 일을 쓰시오. (3) 인공지능으로 인해 인류에게 어떤 일이 생길 것이라고 하는가? (4) 스티븐 호킹은 인공지능으로 인한 미래를 어떻게 예측하며, 여러분은 어떻게 예측하는가? 그 근거는? 2. 308쪽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인공지능 발달이 우리에게 던지는 새로운 과제 두 가지를 제시한 부분에 밑줄을 그어보자. (2) (1)의 두 가지 방안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자. 방안 방법 누가 3. 309-310쪽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
※다음 중세 국어 자료를 보며 특징을 탐구해 보자. 나·랏:말·미中國·귁·에달·아文문字··와·로서르·디아·니··이런 젼··로어·린百·姓··이니르·고·져··배이·셔·도·:내제··들시·러펴· 디:몯·노·미하·니·라·내·이·爲·윙··야:어엿·비너·겨·새·로·스·믈여·듧字· ··노·니:사:마·다:·:수·니·겨·날·로··메便뼌安·킈·고·져 ·미니·라 海東(해동)六龍(육룡)·이·샤:일:마다天福(천복)·이시·니古聖(고성)·이同符(동부)·시·니 불·휘기·픈남··매아·니:뮐·곶:됴·코여·름·하·니 :·미기·픈·므·른··래아·니그·츨·:내·히이·러바··래·가·니 (1) 현대어로 해석해 보자. (말로 해석하며 해석이 어려운 곳은 교과서 381이..
※ 국어 자료를 탐구하면서 우리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자. 1. 다음 중세 국어 자료를 보며 특징을 탐구해 보자. (1) 띄어쓰기를 표시해 보자. 海東(해동)六龍(육룡)·이·샤:일:마다天福(천복)·이시·니古聖(고성)·이同符(동부)·시·니 불·휘기·픈남··매아·니:뮐·곶:됴·코여·름·하·니 :·미기·픈·므·른··래아·니그·츨·:내·히이·러바··래·가·니 (2)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어휘를 찾아 뜻과 함께 적어보자. (3) 현대 국어와 표기상 차이 나는 점을 찾아 적어보자. (4) 현대 국어 문법과 차이를 보이는 것을 찾아 적어보자.
※ 국어 자료를 탐구하면서 우리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자. 1. 다음 중세 국어 자료를 보며 현대 국어로 풀이해 보자. (1) 제목의 의미를 말해 보자.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각 한자의 뜻을 써보자. 용: 비: 어: 천: 가: (2) 1장과 2장을 현대 국어로 풀이해 보자. 海東(해동)●六龍(육룡)●·이·샤:일:마다天福(천복)·이시·니古聖(고성)●·이同符(동부)·시·니● ●어휘 풀이 •해동 (海東) 발해(渤海)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예전에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 •육룡 (六龍) 당시 임금인 세종의 여섯 조상을 가리켜 한 말. •고성 (古聖) 옛날의 성인(聖人). 중국 역대의 제왕을 일컬음. •동부(同符)하다 부신(符信)이 꼭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다. 해석 : 불·..
※ 국어 자료를 탐구하면서 우리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자.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 자료를 보며 현대 국어와 다른 중세 국어의 특징을 찾아 형광펜으로 표시해 보자. 나·랏:말·미 中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디 아·니 ·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통하지 아니하여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말하고자 하는(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능히 펴지 못하는(못할) 사람이 많다(많으니라).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내가 이것을 위하여 가엾게 여기어(여겨) 새로 ·스·믈여·듧 ..
※ 국어 자료를 탐구하면서 우리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자.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다음 문장을 해석해 보자. 세종어제훈민정음 世宗御製訓民正音 御 : 임금, 왕 (어의 : 임금의 옷) 製 : 만들다 (제작 : 기계나 작품 따위를 만듦) 해석 : 2. 다음 중세 국어 자료를 보고 활동을 해 보자. 중세 국어 자료 나·랏:말·미中國·귁·에달·아文문字··와·로서르·디아·니··이런젼··로어·린百·姓··이니르·고·져··배이·셔·도·:내제··들시·러펴·디:몯·노·미하·니·라·내·이·爲·윙··야:어엿·비너·겨·새·로·스·믈여·듧字···노·니:사:마·다:·:수·니·겨·날·로··메便뼌安·킈·고·져·미니·라 - 《월인석보》 권 제1, 세조 5년(1459)..
혼자 작성하기엔 뭔가 모자람이 있어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반톡에 올린 후 답변을 받았다. 역시 그 답변은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사실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자기는 자신이 가장 잘 안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 이 답변을 토대로 특히 내성적인 학생들의 행동특성과 종합의견을 자세히 잘 서술할 수 있었다. 질문 1 1. 나의 성격은 어떠한 성격인지 자세하게. 2. 그 성격이 어떤 좋은 영향을 미치고, 어떤 나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건이나 일을 들어 서술. 3. 나의 장점은 무엇인지. 이 장점이 삶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4. 나의 성적은 1학기와 2학기가 어떻게 다르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5. 교사는 나를 어떻게 보아 주었으면 좋을지. 질문 2 학교 축제를 어제 했는데 그때 학급..